투자를 목적으로 어떤 계좌를 가지고 계세요?
요즘 ISA 계좌 하나씩은 다 있잖아요?
저도 중개형 ISA 만들어서 ETF 투자 잘 하고 있었거든요.
그런데 최근에 지인한테 듣고 알았어요.
“서민형으로 전환하면 비과세 한도가 더 늘어난다!”
뭐야? 이득이잖아? 하고 바로 확인해봤죠.
알고 보니 전환 조건이 따로 있고,
증권사에 신청까지 해야 하더라고요.
오늘은 지금 중개형 ISA 쓰고 있는 분들이
서민형으로 전환 가능한지, 어떻게 하면 되는지
완전 쉽게! 설명해드릴게요.
서민형 ISA란? 혜택부터 확인해보자!
- 비과세 한도: 400만원 → 600만원
- 초과분도 9.9% 분리과세 적용
- 소득 요건 충족 시 신청 가능
- 가입 시점 관계없이 중간에 전환 가능
원래 일반형 ISA는 비과세 한도가 400만원인데요,
서민형으로 전환하면 600만원까지 세금 안 냅니다!
이게 진짜 큰 거예요.
수익이 많을수록 세금 부담이 커지니까
200만원이라도 추가로 비과세 되는 건 꽤 크더라고요.
서민형 ISA 전환 자격 조건
- 총 급여 5,000만원 이하 (근로자 기준)
- 종합소득 3,800만원 이하 (자영업자 기준)
- 서민·취약계층 확인 서류 제출 필요
- 기존 ISA 계좌가 있어도 조건 충족 시 전환 가능
핵심은 소득 요건이에요.
전년도 총 급여가 5,000만원 이하면 근로자는 해당되고,
자영업자는 종합소득 3,800만원 이하면 신청 가능해요.
여기서 팁 하나 드리면,
소득 요건은 전년도 기준이라
올해 수입이 늘어도 작년 기준만 맞으면 돼요!
저는 작년 연봉이 딱 4,800만원이라 가능했어요!
중개형 ISA 쓰고 있던 저는
연봉이 5천 안 넘었어서 딱 기준에 맞았고요.
회사에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출력해서
증권사에 제출했더니 일주일 안 걸려서 전환됐어요.
전환하고 나니까 마음이 든든하더라고요.
이제 600만원까지는 세금 없이 투자 가능!
서민형으로 전환하는 절차
- 1단계: 서류 준비 (소득 증빙)
- 2단계: 증권사 앱 또는 영업점에서 신청
- 3단계: 금융사 내부 검토 (보통 3~7일)
- 4단계: 전환 완료 후 혜택 적용
각 증권사마다 살짝 다르긴 한데요,
대부분 앱에서 전환 신청 가능하고,
소득 증빙 서류만 첨부하면 끝이에요.
필요한 서류는
근로자는 원천징수영수증,
자영업자는 종합소득세 신고서 준비하면 돼요.
전환 후 달라지는 점은?
- 비과세 한도 ↑ 600만원
- 추가 세금 절감 효과 큼
- 운용 방식이나 종목 투자 제한은 그대로 유지
- 중개형 유지한 채로 서민형 혜택 적용
많이들 헷갈리는 부분인데요,
중개형 자체가 바뀌는 건 아니에요.
그대로 ETF도 사고, 직접 매매도 가능하지만
세제 혜택이 서민형 기준으로 상향된다는 거죠.
진짜 꿀조합이에요!
전환하고 나서 든 생각 하나…
괜히 그동안 일반형으로 투자했네 싶었어요.
전환하고 나서 다시 계산해보니까
비과세 한도가 200만원 더 넓어졌으니
수익률 그대로라도 세금에서 20만원은 아낀 셈이더라고요.
진작 알았으면 더 좋았겠지만, 지금이라도 바꿔서 다행이었어요!
한 줄 요약과 팁
지금 중개형 ISA 쓰고 있으면서
연 소득 5천만 원 이하이신 분들은
꼭 서민형으로 전환 신청하세요!
비과세 한도 600만원, 놓치면 진짜 아깝습니다